인허가/식품접객업 20

공유주방업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 이경록행정사 010-4592-8605 https://open.kakao.com/o/somZTx9f 행정사에게 문의하세요 open.kakao.com 2021.12.30 식품위생법이 개정되면서 공유주방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습니다. 공유주방업이란 식품의 제조·가공·조리 등에 필요한 시설 또는 기계·기구 등을 여러 사업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영업을 말합니다. ​ 기존에는 하나의 영업소에서 하나의 사업자만이 영업할 수 있었으나 이번 법령의 개정으로 하나의 영업소에서 여러 사업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게 된 것입니다. ​ 공유주방업은 2018년6월부터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한시적으로 허용되어 26곳의 시범사업업체를 지정하고 270곳에서 시법 공유주방..

옥외영업신고 의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 이경록행정사 010-4592-8605 https://open.kakao.com/o/somZTx9f 행정사에게 문의하세요 open.kakao.com 최근 옥외영업신고에 대한 문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몇 건의 옥외영업신고를 완결하였는데 한 여름에는 에어콘이 있는 실내를 선호하지만 날씨가 선선해 지는 8월말 이후에는 실내 보다는 야외를 선호하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 합니다. 옥외영업은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제과점이 영업장과 연접(옥내 영업장과 옥외영업장이 직접 맞다아 있는 경우)하는 외부 장소를 영업장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과거에는 옥외영업장 신고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영업장 앞 빈터에 테이플을 설치하여 무단으로 영업하고 인근에서 민원을 제기하거나 신고하면 단속으로 ..

커피로스팅공장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 이경록행정사 010-4592-8605 https://open.kakao.com/o/somZTx9f 행정사에게 문의하세요 open.kakao.com 커피시장이 커지면서 개인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커피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대량 생산하는 커피가 아닌 나만의 고유한 커피를 판매하는 전문점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커피로스팅을 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분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는데 커피로스팅 공장을 운영하려면 무슨 허가를 받아야 할까요? 먼저 자신이 운영하는 카페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커피를 직접 로스팅하여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됩니다. 즉 이미 휴게음식점업이나 제과점으로 영업신고를 하고 자신이 필요한 커피를 직접 로스팅하여 사용하는 것은 별도의 허가없이 가능합니다. 카페..

옥외영업신고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 이경록행정사 010-4592-8605 https://open.kakao.com/o/somZTx9f 행정사에게 문의하세요 open.kakao.com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는 저녁에 동네 인근 생맥주집이나 선술집에서 술 한잔 하고픈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아니면 밤공기와 함께 커피나 음료를 즐기는 것도 좋겠죠. 에어컨 밑에서 시원하게 먹고 마시는 것도 괜찮지만 밤에는 기온도 내려가니 야외에서 시원한 바람과 함께 마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음식점 앞에 공간이 있다고 하여 테이블을 설치해서 영업해도 되는 걸까요? 옥외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식품접객업 영업신고사항 변경신고를 해야 합니다. 즉 "옥외영업신고"를 하고 영업신고증에 옥외영업의 면적이 기재되어야 합니다. 또한 옥외영..

커피로스팅을 하려면 무슨 허가가 필요할까요?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이경록 행정사010-4592-8605 https://open.kakao.com/o/somZTx9f 행정사에게 문의하세요 open.kakao.com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 해 빌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 성인의 1인당 커피소비량은 1년간 353잔으로 세계 평균의 2.7배라고 합니다. 매년 커피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어 전체 커피시장 규모는 2016년 5조9천억원에서 2023년에는 8조6천억원으로 확대될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커피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각자의 독특한 취향을 반영한 스페셜한 커피를 찾는 수요층도 증가하고 있고 각자 집에서 자신만의 커피를 마시고자 에스프레스 머신 등 커피기기 수입액도 크게 증가하고 있어 원두 판매량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즉석판매제조가공업을 신고하는 분이 늘어나고 있네요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 이 경 록 행정사 010-4592-8605 https://open.kakao.com/o/somZTx9f 행정사에게 문의하세요 open.kakao.com 작년부터 배달관련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는 뉴스를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의 장기화로 인하여 음식점의 영업시간이 제한되고 코로나 감염우려로 인하여 집에서 주문하여 먹는 배달음식의 수요 또한 폭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터넷 등을 통해 손님의 주문을 받아 식품을 제조하여 소비자에게 배송하는"즉석판매제조가공업" 등록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 "바라바라바라밤~~~"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치킨배달, 짜장면 배달과 같이 전화 또는 배달앱을 통해 음식주문을 받고 영업점에서 조리한 음식을 배달하거나 영업소에 내점..

위탁급식업 신고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 이 경 록 행정사 010-4592-8605 https://open.kakao.com/o/somZTx9f 행정사에게 문의하세요 open.kakao.com 지난 번에는 식품접객업 중에서 휴게음식업과 제과점, 일반음식점에서 대해 말씀드렸는데, 오늘은 요즘 증가하고 있는 위탁급식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위탁급식업은 병원, 회사나 학교 등에서 단체급식이 증가함에 따라 2003년 식품위생법시행령을 개정하여 위탁급식영업을 새로운 식품접객업의 업종으로 추가한 것입니다. 위탁급식업은 집단급식소를 설치ㆍ운영하는 자와의 계약에 따라 그 집단급식소에서 음식류를 조리하여 제공하는 영업을 말합니다. 위탁급식영업도 음식류를 조리하고 판매하는 것에 한정되고 음주행위는 금지됩니다. ​ 1. 시설기준 1) 영..

식품접객업 영업신고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 이 경 록 행정사 010-4592-8605 https://open.kakao.com/o/somZTx9f 행정사에게 문의하세요 open.kakao.com 식품관련 영업은 영업의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뉘고 허가나 신고한 업태 별로 할 수 있는 영업의 범위가 다릅니다. ​ 식품위생법과 총리령에 따른 식품관련 영업은 1. 식품제조·가공업 2. 즉석판매제조·가공업 3. 식품첨가물제조업 4. 식품운반업 5. 식품소분·판매업 6. 식품보존업 7. 용기·포장류 제조업 8. 식품접객업 9. 위탁급식업 10. 공유주방운영업 등입니다. ​ 오늘은 여러 식품관련 업종 중에서 신고만으로 할 수 있는 식품접객업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식품접객업은 식품위생법 시행령에 따라 영업의 세부 종류 및 그 범위를..

식품제조가공업 영업등록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이 경 록 행정사010-4592-8605 https://open.kakao.com/o/somZTx9f 행정사에게 문의하세요 open.kakao.com식품관련 영업신고 또는 등록이 필요한 업종은 1) 식품제조가공업, 2) 즉석판매제조가공업, 3) 식품운반업, 4) 식품소분판매업, 5) 식품냉동냉장업, 6) 용기포장류제조업, 7)휴게음식점업, 8) 일반음식점업, 9) 위탁급식업, 10) 제과점 등이 있습니다.​이 가운데 오늘의 주제인 식품제조가공업은 식품을 제조하거나 가공하는 것을 영업의 대상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석판매제조가공업은 식품을 제조·가공하여 최종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영업을 말하는 반면, 식품제조가공업은 식품의 중간 재료를 만들 수도 있고, 최종 식품을 만들어 중간대리점이나..

즉석판매제조가공업

동탄화성행정사컨설팅 이 경 록 행정사 010-4592-8605 코로나의 장기화로 인하여 요즘에는 배달 주문 상품의 매출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식품 또한 간편하게 인터넷을 통해 주문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신선식품 배송 업체 및 농산물을 가공하여 새로운 식품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온라인을 통해 직접 제조한 식품을 판매하려면 즉석식품제조가공업 신고와 통신판매업 신고를 해야 합니다. 기존에 일반음식점이나 휴게음식점, 제과점을 운영하시는 분도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신고를 하면 이 두가지를 함께 운영할 수 있습니다. 기존 일반음식점에서 소비자로부터 주문을 받아 영업장에서 조리한 음식물을 테이크 아웃 등의 형태로 판매하거나 배달하는 것은 별도의 신고없이 가능합니다. 그러나..